부석사, 아름다운 절
- 지금 여기, 우리네 공간 -
부석사, 아름다운 절
백두로부터 이어진 태백산과 소백산의 기슭, 경상북도 영주 봉황산에 고요하고 아늑하게 자리 잡은 그 아름다운 절은 바로 화엄종찰인...
커피 콘테스트 우승의 영광을 차지한 ‘카페 발타자르’
비엔나에 거주 중인 커피 애호가라면 모두들 한번쯤은 방문하거나 들어본 적이 있었을 카페 발타자르는 시내 중심가에서 살짝 벗어난 2구, 프라터슈트라세에 위치하고 있다.
비너 슈타트 매거진인 “슈타트베칸트(Stadtbekannt)”에서...
비엔나 카페에서는 자허토르테만 있는게 아니라는 것!
우리에게 “비엔나 카페” 라고 하면, 흔히들 “자허 토르테” 와 “비엔나 커피”를 떠올리기 십상이다.
비엔나 커피로 가장 많이 알려진 커피 종류는 멜랑쥐와 아인슈패너.
그렇다면 비엔나 카페에서는 자허토르테와...
아름다운 호수 마을 – 슬로베니아 블레드
빈에서 기차로 5시간 30분 정도면 도착하는 “블레드“는 슬로베니아의 북쪽에 위치한 호수 마을이다. 이곳은 비록 작은 마을이지만 슬로베니아에서 가장 많은 여행객이 몰리는 곳으로 유명한 휴양지이다....
훈민정음이 반포된 10월 9일, 한글날
당신은 혹시 ‘영어의 날’ 혹은 ‘독일어의 날’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내가 어릴 적에는 세계 각국의 사람들이 다 자신의 언어를 기념하는 기념일 하나씩은 가지고...
실크로드 66 – 노베르트 못쉬 박사 부부 실크로드 여행기
노베르트 못쉬 박사 부부는 한국에 여러 번 다녀 왔지만 2018년 봄에는 다른 방법을 택했습니다. 빈에서 서울까지 약 14시간 비행기로 가는 대신 3개월 반에 걸쳐...
자연과 역사, 문화가 공존하는 도시 ‘즈노이모(Znojmo)’
즈노이모(Znojmo)는 체코의 남부 모라비아 지역에 있는 도시로, 빈에서 겨우 83Km 떨어져 있는 도시이다. 오스트리아 국경에서 가까워 빈에서 출발하는 버스로 1시간 10분이면 이 작은 마을에...
오스트리아 백배 즐기기 – 블루마우 리조트
무더웠던 여름, 아쉬웠던 가을을 지나 어느새 겨울이다. 추운 겨울에 떠나기 좋을 오스트리아 여행지로 빈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온천 휴양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번에 소개할 온천...
비엔나의 카페를 찾아서 – Café Ritter
언제나 북적북적한 사람들로 시장통을 이루는 마리아힐퍼를 다니다보면 모던한 스타일의 건물들과 옛 스타일의 건물들이 한 거리에 함께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현대와 과거가...
[오스트리아 역사 이야기] 오스트리아 노벨상 수상자 – 1편
노벨상은 다이너마이트의 발명가인 스웨덴의 알프레드 노벨이 작성한 유언에 따라 매년 인류의 문명 발달에 학문적으로 기여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1901년부터 시작된 이 상은 물리학상, 화학상,...
고구려 양만춘 장군과 당 태종의 대결 – 안시성 전투
외국에 살면서 안타까운 점 중에 하나는 한국의 문화 트렌드에서 언제나 조금 뒤쳐진 느낌을 받는다는 것이다. 어떤 예능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며 이러저러한 신조어를 만들어 냈다던가,...
프란츠 2세와 오스트리아 제국
프란츠 2세는 신성 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이자 오스트리아 제국 최초의 황제이다. 본명은 프란츠 요제프 카를 (Franz Joseph Karl)이며,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는 프란츠 2세,...
오스트리아 – 헝가리 제국
역사적 배경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은 1867년부터 1918년까지 존재하였던 국가이다. 합스부르크 왕가의 기를 사용했던 이 제국은 역사적으로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던 유일한 이중제국이다. 오스트리아제국은 1806년 신성로마제국의 황제인 프란츠 2세가 나폴레옹에...
퇴계 이황, 만대의 사표
- 우리네 큰 어른 -
退溪 이황, 萬代의 師表
퇴계는 뉘인가? 당대에도 그 이름 널리 떨쳤을 뿐 아니라 오늘날 우리의 가까이, 한국은행의 천원권 지폐 속에 계시니 도처에서...
베토벤, 고뇌를 넘어서 환희로
- 墺地利의 큰 인물 -
durch Leiden zur Freude, Ludwig van Beethoven
인간에게 있어서 위대함이란 무엇인가. 진리란 무엇인가. 또, 음악이란 무엇인가. 그 물음에 대한 답을 위해...
주오스트리아 대한민국 대사관, 레오폴트 미술관과 손잡고 한국어 음성안내 제공
한국어로 만나는 클림트와 에곤 실레의 명작
오는 9월 25일부터 오스트리아 빈의 대표적 미술관인 레오폴트 미술관을 방문하는 우리나라 국민들은 구스타프 클림트의 ‘죽음과 삶’과 에곤 실레의 ‘꽈리열매가...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 브루크너, 쇤베르크 탄생 기념 2번째 음악회 개최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원장 임진홍)은 지난 4월 22일 안톤 브루크너 탄생 200주년과 아놀드 쇤베르크 탄생 150주년을 기념하여 'Lieder ohne Worte'라는 테마로 콰르텟 울림과 함께하는 음악회를 개최했다.
콰르텟...
[K-KULTUR] 방탄소년단, 빌보드 싱글 2위…6주째 최상위권 유지
6주간 '톱 2' 유지하며 장기흥행…'라디오 송즈' 40위 내 첫 진입
(로스앤젤레스·서울=연합뉴스) 정윤섭 특파원 오보람 기자 =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다이너마이트'가 미국 빌보드 메인 싱글 차트 '핫...
‘쪽빛’으로 이어진 한-오 문화 교류의 장 – 함상욱 주오스트리아 대한민국 대사,...
지난 5월 4일, 오버외스터라이히주 구타우(Gutau)시에서 열린 전통 공예 축제 ‘구타우 염색축제(Färbermarkt)’에 함상욱 주오스트리아 대한민국 대사가 공식 초청돼 참석했다. 이번 방문은 한국이...
[오스트리아 역사 이야기] 오스트리아 노벨상 수상자 – 2편
노벨상은 다이너마이트의 발명가인 스웨덴의 알프레드 노벨이 작성한 유언에 따라 매년 인류의 문명 발달에 학문적으로 기여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1901년부터 시작된 이 상은 물리학상, 화학상,...
한국문화원, 오스트리아 현대무용 페스티벌 ‘imagetanz 2025’에서 남혜지 작가의 퍼포먼스 상연
퍼포먼스에 담긴 샤머니즘의 영적 세계와 디지털 미디어
주오스트리아한국문화원(원장 임진홍)은 오스트리아 문화 단체 Brut과 협력하여 4월 4일(금)~4월 7일(월)까지 총 3회에 걸쳐 현대무용 페스티벌 ‘imagetanz 2025’(빈 브뤼트...
비엔나, 여행 속으로 – 비엔나의 중심, 슈테판 대성당
비엔나의 중심, 슈테판 대성당
지도 속 비엔나 도시의 한 가운데, 링 슈트라세로 둘러싼 시내(Innenstadt) 의 중심에 슈테판 대성당(Stephansdom) 이 자리잡고 있다.
비엔나의 정신, 영혼이라고도 불리우면서 비엔나...
사군자, 선비의 향기 · 梅
- 우리네 아름다움 -
사군자, 선비의 향기 · 梅
봄, 찬란한 봄날이 오면 만물은 푸르고 또 푸르게 생장하는 아름다움과 생기를 한껏 발한다. 봄 여름 가을 그리고 겨울을...
한국-EU수교60주년 기념음악회 – Musikverein서 Walt Ensemble과 문지영 피아노 협연
한국과 유럽연합(EU)의 수교 60주년을 기념하는 음악회가 1월 14일 오후 5시 비엔나 Musikverein 브람스홀에서 열렸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국제문화교류재단(KOFICE), 주 오스트리아 대한민국 대사관 공동주최, 주 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원장 임진홍)...
국립국악원 · 주오스트리아한국문화원 주제 한국음악특별전 개최
열 폭의 비단에 담긴 조선왕실의 잔치 <조선왕실의 춤과 음악>
국립국악원(원장 김영운)은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원장 임진홍)과 함께 ‘임인진연도병(壬寅進宴圖屛, 서울특별시유형문화유산)’을 주제로 하는 한국음악특별전시 <조선왕실의 춤과 음악>을 4월 19일(금)에...
추사 · 완당, 두 아호로 쓰여진 김정희의 생애
- 우리네 큰 어른 -
秋史 · 阮堂, 두 아호로 쓰여진 김정희의 생애
“세상에 추사를 모르는 이 없지만, 아는 이도 없다.” ‘추사체’로 통하는 그 글씨는 반도를 넘어...
[문화계 기별] SOMMERNACHTSKONZERT 2021
- 문화계 기별 -
공연 소식
오는 18일, 매해 여름밤을 아름다이 수놓았던 쇤부른에서의 Sommernachtskonzert가 개최된다. 빈필은 지난해에 이어 방역을 최우선으로 하여 무료 입장을 받지 않으며, 제한된 자석 3,000석을...
2022년 서울시향 유럽 순회공연 – 10월 25일 빈 연주
유럽 현지 초청으로 빈 무지크페라인 등 유럽 유수 공연장서 공연
오스모 벤스케 지휘, 니콜라스 알트슈태트(첼로), 김선욱(피아노) 협연
시벨리우스, 스트라빈스키, 진은숙, 신동훈 작곡가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
서울시립교향악단(대표이사 손은경,...
세계 최고 금속활자본 ‘직지’, 50년 만에 공개···프랑스에서 4월 전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본인 '직지심체요절'이 50년 만에 공개된다.
16일 프랑스 국립도서관 홈페이지에 따르면 도서관은 오는 4월 12일(현지 시간)부터 7월 16일까지 '인쇄하다! 구텐베르크의 유럽'을 주제로 한...










![[오스트리아 역사 이야기] 오스트리아 노벨상 수상자 – 1편](https://www.korean.at/wp-content/uploads/2020/03/web_139084_Nobel-prize-crop-1-324x235.jpg)







![[K-KULTUR] 방탄소년단, 빌보드 싱글 2위…6주째 최상위권 유지](https://www.korean.at/wp-content/uploads/2020/10/web_01_bts-324x235.jpg)







![[문화계 기별] SOMMERNACHTSKONZERT 2021](https://www.korean.at/wp-content/uploads/2021/06/199463345_342062073947579_7903416023611831172_n-324x23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