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토벤, 고뇌를 넘어서 환희로

- 墺地利의 큰 인물 - durch Leiden zur Freude, Ludwig van Beethoven     인간에게 있어서 위대함이란 무엇인가. 진리란 무엇인가. 또, 음악이란 무엇인가. 그 물음에 대한 답을 위해...

[오스트리아 백배 즐기기] 멜크 수도원 – Stift Melk

빈에서 차로 1시간 거리, 동쪽으로 약 80km 떨어진 멜크 수도원은 니더외스터라이히주(Niederösterreich) 멜크에 위치한 베네딕도회 수도원이다. 유럽 최대의 바로크 양식 건물이며, 로마 가톨릭의 본거지로 종교개혁에...

프란츠 2세와 오스트리아 제국

프란츠 2세는 신성 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이자 오스트리아 제국 최초의 황제이다. 본명은 프란츠 요제프 카를 (Franz Joseph Karl)이며,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는 프란츠 2세,...

[문화계 기별] SOMMERNACHTSKONZERT 2020

- 문화계 기별 - 공연 소식     오는 18일, 매해 여름밤을 아름다이 수놓았던 쇤부른에서의 Sommernachtskonzert가 열린다. 빈필은 어려운 현 시국에 긍정적 시그널을 보내고 싶다 전했고, 방역을 위하여 지난해와는...

현악사중주단 아레테 콰르텟, 모차르트 국제콩쿠르 1위

한국의 현악사중주단 '아레테 콰르텟'(Arete Quartet)이 모차르트 국제콩쿠르에서 우승했다. 소속사 목프로덕션(MOC Production)에 따르면 아레테 콰르텟은 9일 오후 10시(한국 시간 10일 오전 6시)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에서 열린...

[한국문화원] 음악으로 되살아나는 향수(鄕愁): 2025년 탄생 기념 콘서트 시리즈, The Old...

2025년 탄생 기념 콘서트 시리즈: The Old Refrain 3월 5일, 프리츠 크라이슬러와 아리랑으로 시작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이 기획하고 개최하는 '탄생 기념 콘서트 시리즈'가 지난해에 이어 2025년에도 계속된다....

[문화계 기별] Neujahrskonzert 2022 mit Daniel Barenboim

- 문화계 기별 - 공연 소식     오는 2022년 1월 1일, 80여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빈 신년음악회가 이 시대의 마에스트로 다니엘 바렌보임의 지휘로 개막될 예정이다. 매해 신년의 벽두를 슈트라우스...

사군자, 선비의 향기 · 梅

- 우리네 아름다움 - 사군자, 선비의 향기 · 梅     봄, 찬란한 봄날이 오면 만물은 푸르고 또 푸르게 생장하는 아름다움과 생기를 한껏 발한다. 봄 여름 가을 그리고 겨울을...

[한국문화원] ‘신년대길’-서공임 민화전 빈 한국문화원에서 열려 (3월 22일까지)

한국 민화작가 서공임 초대전 ‘신년대길’개막식이 지난 1월 12일 비엔나 주 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원장 임진홍, 이하 문화원)주최로 함상욱 주 오스트리아 한국대사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번 전시는...

아름다운 호수 마을 – 슬로베니아 블레드

빈에서 기차로 5시간 30분 정도면 도착하는 “블레드“는 슬로베니아의 북쪽에 위치한 호수 마을이다. 이곳은 비록 작은 마을이지만 슬로베니아에서 가장 많은 여행객이 몰리는 곳으로 유명한 휴양지이다....

[문화계 기별] 전시 소식

- 문화계 기별 - 전시 소식     지난 7일부터 봉쇄령이 부분 완화됨에 따라 오스트리아의 미술관과 박물관은 다시금 문을 열어 방문객을 맞이하고 있다. 다가온 올겨울의 미술계 소식을 전한다.   Leopold Museum 레오폴드...

자연과 역사, 문화가 공존하는 도시 ‘즈노이모(Znojmo)’

즈노이모(Znojmo)는 체코의 남부 모라비아 지역에 있는 도시로, 빈에서 겨우 83Km 떨어져 있는 도시이다. 오스트리아 국경에서 가까워 빈에서 출발하는 버스로 1시간 10분이면 이 작은 마을에...

실크로드 66 – 노베르트 못쉬 박사 부부 실크로드 여행기

노베르트 못쉬 박사 부부는 한국에 여러 번 다녀 왔지만 2018년 봄에는 다른 방법을 택했습니다. 빈에서 서울까지 약 14시간 비행기로 가는 대신 3개월 반에 걸쳐...

[전시안내] Weltmuseum Wien – 한오 수교 130주년 기념 민화전 ‘책거리’

  한-오 수교 130주년을 기념하여 빈세계박물관(Weltmuseum Wien)에서 4월 21일부터 11월 1일까지 ‘책거리 - Our shelves, Ourselves’라는 제목의 민화전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에는 31명의 뛰어난 한국 작가들이...

[문화계 기별] 이 시대의 명반

- 문화계 기별 - 이 時代의 名盤     오늘에도 역사는 흐르고, 흐르는 역사 속 인류의 위대한 순간순간이 도처에서 기록된다. 역사의 흐름 속에 기억될, 서양고전음악의 역사에 길이 남을 오늘날의...

부석사, 아름다운 절

- 지금 여기, 우리네 공간 - 부석사, 아름다운 절     백두로부터 이어진 태백산과 소백산의 기슭, 경상북도 영주 봉황산에 고요하고 아늑하게 자리 잡은 그 아름다운 절은 바로 화엄종찰인...

[K-KULTUR] NYT “유엔에서도 중심에 선 BTS”…국제무대서 스포트라이트

유엔 회의 100만명 시청에 미 유력지 주목…하루만에 조회수 1천만 돌파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방탄소년단(BTS)의 뜨거운 인기가 글로벌 외교의 '슈퍼볼'로 불리는 유엔 총회 무대에서도 주목받고...

고구려 양만춘 장군과 당 태종의 대결 – 안시성 전투

외국에 살면서 안타까운 점 중에 하나는 한국의 문화 트렌드에서 언제나 조금 뒤쳐진 느낌을 받는다는 것이다. 어떤 예능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며 이러저러한 신조어를 만들어 냈다던가,...

한국문화원, 오스트리아 현대무용 페스티벌 ‘imagetanz 2025’에서 남혜지 작가의 퍼포먼스 상연

퍼포먼스에 담긴 샤머니즘의 영적 세계와 디지털 미디어 주오스트리아한국문화원(원장 임진홍)은 오스트리아 문화 단체 Brut과 협력하여 4월 4일(금)~4월 7일(월)까지 총 3회에 걸쳐 현대무용 페스티벌 ‘imagetanz 2025’(빈 브뤼트...

비엔나 카페에서는 자허토르테만 있는게 아니라는 것!

우리에게 “비엔나 카페” 라고 하면, 흔히들 “자허 토르테” 와 “비엔나 커피”를 떠올리기 십상이다. 비엔나 커피로 가장 많이 알려진 커피 종류는 멜랑쥐와 아인슈패너. 그렇다면 비엔나 카페에서는 자허토르테와...

[문화계 기별] 전시 소식

- 문화계 기별 - 전시 소식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문화예술계의 타격은 적지 않다. 그럼에도 오스트리아의 예술계는 이에 굴하지 않고 꿋꿋이 헤쳐 나아가고 있다. 박물관과 미술관에서는 8월 중...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 개원 1주년 기념행사 개최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원장: 임진홍)은 창립 1주년을 맞이하여 기념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피아니스트 윌리엄 윤, 국악 연주자 김보성(장구), 소솔이(창, 무용), 윤주연(대금) 등 유명 예술가들이 참여하여...

[문화계 기별] 공연 소식

- 문화계 기별 - 공연 소식     현 시국의 여파로 몇 달 동안 부득이 문을 닫았던 오페라 및 연극, 음악 공연장들이 다시금 재개관하고,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의 새로운 공연 일정이...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 브루크너, 쇤베르크 탄생 기념 2번째 음악회 개최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원장 임진홍)은 지난 4월 22일 안톤 브루크너 탄생 200주년과 아놀드 쇤베르크 탄생 150주년을 기념하여 'Lieder ohne Worte'라는 테마로 콰르텟 울림과 함께하는 음악회를 개최했다. 콰르텟...

빈 소년합창단 창단 525주년 축하 기념 콘서트 열려 – 한국인 소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소년합창단으로 이름난 ‘빈 소년합창단’의 창단 525주년 기념 음악회가 지난 5월 14일 오전 11시 오스트리아 비엔나 무지크페라인 황금홀에서 성대하게...

정제된 구조 장엄한 공간, 종묘

- 지금 여기, 우리네 공간 - 整齊된 구조 莊嚴한 공간, 宗廟     조선을 건국하고 지금의 서울 땅에 수도를 천도하며 가장 먼저 지은 건물, 조선의 역대 임금과 왕후...

독립열사, 유관순

“나라에 바칠 목숨이 오직 하나밖에 없는 것이 이 소녀의 유일한 슬픔입니다.” 3.1 운동 100주년을 맞아 한국에서는 독립운동에 관련한 영화와 공연들이 많이 상연되고 있다. 그 중...

[오스트리아 역사 이야기] 오스트리아 노벨상 수상자 – 1편

노벨상은 다이너마이트의 발명가인 스웨덴의 알프레드 노벨이 작성한 유언에 따라 매년 인류의 문명 발달에 학문적으로 기여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1901년부터 시작된 이 상은 물리학상, 화학상,...

주한 오스트리아 대사,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 방문

지난 2월 7일 오전, 주한 오스트리아 대사 볼프강 앙거홀처(Dr. Wolfgang Angerholzer)가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을 방문했다. 이날 앙거홀처 대사는 임진홍 문화원장 및 실무진들과 함께 면담을 나누며, 한국과...

퇴계 이황, 만대의 사표

- 우리네 큰 어른 - 退溪 이황, 萬代의 師表     퇴계는 뉘인가? 당대에도 그 이름 널리 떨쳤을 뿐 아니라 오늘날 우리의 가까이, 한국은행의 천원권 지폐 속에 계시니 도처에서...

최신글

- 광고 -